고객센터 상담 중 가장 많이 듣는 말, “신청한 적 없는 카드가 배송된대요”
고객센터에서 일하며 실제로 수많은 전화를 받다 보면, 최근 들어 유난히 반복되는 문의 유형이 있습니다.
“카드 배송 전화가 왔는데… 저는 그런 카드 발급한 적이 없어요.”
그런데 문제는 이 전화가 ‘1551’로 시작되는 번호에서 왔다는 점입니다.
겉보기엔 카드사 고객센터나 금융기관 대표번호처럼 보이고,
심지어 상담원의 말투도 정중하고 전문적이어서 많은 분들이 쉽게 안심하게 됩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이것은 정교하게 설계된 카드사 사칭형 보이스피싱입니다.
특히 최근엔 새마을금고를 사칭한 카드 발급 배송 전화가 많고,
피해자 대부분이 “그럴싸해서 믿었다”라고 말합니다.
오늘은 고객센터 상담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사례와 함께 1551 번호로 걸려오는 신청 하지도 않은 카드 배송 전화를 받았다면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보이스피싱 수법과 방지법을 차근차근 안내해 드릴게요.
1551로 카드 배송 전화, “앱 설치하고 인증했는데 통장에서 돈이 빠졌어요”
실제 있었던 상담 사례입니다.
30대 직장인 박모 씨는 점심시간 중 ‘1551-0 XXX’ 번호로 전화를 받았습니다.
상대방은 “새마을금고 신용카드 배송부”라고 자신을 소개하며
“고객님이 신청하신 신용카드가 오늘 중 배송될 예정인데,
본인 확인을 위해 모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라고 안내했습니다.
박 씨는 본인이 카드를 신청한 기억이 없다고 하자,
상대방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최근 비대면 카드 신청 도중 타인에 의해 명의 도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피해 방지를 위해 지금 본인 인증 절차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이후 상담원은 APK 형식의 링크를 문자로 보내고,
‘보안 인증 앱’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를 유도했습니다.
설치 후 진행된 절차는 신분증 촬영, 계좌번호 입력, 공인인증서 인증 등…
결국 그날 오후, 박 씨의 국민은행 계좌에서 470만 원이 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상담을 통해 확인한 결과, 해당 전화는 새마을금고와 전혀 관계없는 보이스피싱 사기 전화였습니다.
카드사 사칭 보이스피싱을 막는 유일한 방법 "의심하는 습관"
"카드 신청 기억이 없다면, 무조건 해당 카드사 고객센터에 직접 문의하세요”
카드사에서 걸려온 전화가 의심되거나 ‘내가 이 카드 신청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면
절대로 그 자리에서 확인하지 말고, 반드시 본인이 직접 카드사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어 발급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새마을금고 고객센터 → 1599-9000
국민카드 고객센터 → 1588-1688
신한카드 → 1544-700
전화로 앱 설치, 인증, 계좌 확인 요청은 모두 사기입니다
어떤 카드사도 전화로 보안앱 설치나 인증용 이체, 신분증 촬영 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배송 전 인증, 도용 방지 등록이라는 말로 앱 설치를 유도한다면 즉시 끊으셔야 합니다.
1551, 050, 070 등 의심 번호는 바로 거절
발신번호가 1551, 050, 070 등으로 시작된다면
대표번호인 척 가장한 스푸핑 전화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모바일 보안 앱을 반드시 설치해 두세요
보이스피싱, 스미싱 문자, 악성 앱 탐지 기능이 탑재된 보안 앱을 설치하면
사기 링크 클릭 시 경고창이 뜨며 사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광고 기반 무료 보안 앱도 많습니다.
알약 M, V3 모바일 같은 앱은 문자에 포함된 위험 링크나 앱 설치 요청을 사전에 탐지해 줍니다.
실제 고객 중 상당수가 이 앱 덕분에 사기 피해를 막았다는 후기도 많습니다.”
개인정보노출자사고신고 시스템 등록하기
금융소비자포털 fine.fss.or.kr에서 의심 전화번호 조회 및 신고접수 가능하고 아래번호로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금융감독원 ☎ 1332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 182
‘배송 예정’이라는 말이 무조건 반가운 건 아닙니다
고객센터 상담을 하다 보면 이런 전화를 받고 혼란스럽고 불안한 상태에서
상담 전화를 다시 거는 고객들이 많습니다.
특히 신청하지 않은 카드 배송, 1551번으로 걸려오는 전화, 앱 설치 요청은
이제는 모두 보이스피싱의 경고 신호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사기범은 전화번호조차 조작할 수 있습니다.
번호가 ‘공식처럼 보여도’, 내용이 정상이 아니면 무조건 의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나뿐 아니라 부모님, 자녀, 주변 사람에게도 이 내용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한 사람의 경계심이 또 다른 피해자를 막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패가 됩니다.
'금융일반 > 금융자산지키기-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스미싱·피싱 피해, 예방부터 구제까지 꼭 알아야 할 대응 가이드 (3) | 2025.07.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