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3)
1551 카드사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신청하지 않았는데 배송 전화? 고객센터 상담 중 가장 많이 듣는 말, “신청한 적 없는 카드가 배송된대요”고객센터에서 일하며 실제로 수많은 전화를 받다 보면, 최근 들어 유난히 반복되는 문의 유형이 있습니다.“카드 배송 전화가 왔는데… 저는 그런 카드 발급한 적이 없어요.”그런데 문제는 이 전화가 ‘1551’로 시작되는 번호에서 왔다는 점입니다.겉보기엔 카드사 고객센터나 금융기관 대표번호처럼 보이고,심지어 상담원의 말투도 정중하고 전문적이어서 많은 분들이 쉽게 안심하게 됩니다.하지만 알고 보면 이것은 정교하게 설계된 카드사 사칭형 보이스피싱입니다.특히 최근엔 새마을금고를 사칭한 카드 발급 배송 전화가 많고,피해자 대부분이 “그럴싸해서 믿었다”라고 말합니다.오늘은 고객센터 상담 경험을 바탕으로,실제 사례와 함께 1551 번호로 걸려오는..
청소년 스미싱 피해, 모바일 지급정지 신청방법 스미싱피해 지급정지 실제 사례: 성적표 문자로 시작된 금융사기 경기도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A군은 어느 날 “이번 학기 성적표 확인”이라는 문자를 받았습니다.보낸 사람은 ‘OO고등학교 알림’으로 표시되어 있었고, 링크 주소도 그럴듯해 보여서 별다른 의심 없이 클릭했습니다.링크를 클릭하자, A군은 네이버 로그인 화면과 유사한 가짜 페이지로 연결되었고,성적을 확인하려면 본인 인증이 필요하다는 메시지에 따라 이름, 생년월일, 계좌번호, 휴대폰 인증번호를 입력했습니다.이후 5분도 되지 않아, ‘[A군]님, 45만 원 이체 완료’라는 알림 문자가 도착했습니다.놀란 A군은 부모님에게 알렸고, 부모는 즉시 **국민은행 고객센터(1588-9999)**에 연락해 계좌 지급정지 요청을 했습니다.은행 상담원은 피해 사실을 ..
스미싱과 피싱 차이 | 청소년이 특히 위험한 이유 스미싱과 피싱, 무엇이 다를까? ‘피싱(Phishing)’은 개인정보를 몰래 탈취하기 위해 가짜 웹사이트나 메시지를 이용하는 공격 기법이며,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을 결합한 용어입니다. 두 방식 모두 개인의 계좌정보, 휴대폰 인증번호, 또는 게임 계정과 같은 민감한 정보를 빼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청소년이 왜 더 위험할까?청소년들은 “무료 쿠폰”, “이벤트 당첨” 같은 문구에 쉽게 반응합니다. 게다가 보안 용어나 사기 수법에 익숙하지 않아 단순한 링크 클릭만으로도 악성 앱이 설치되는 피해가 자주 발생합니다. 실제로 통신사와 보안 기업은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무료 보안 앱을 제공하고 있으니 미리 설치해 두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청소년을 노린 스미싱 수법 5가지 ..

반응형